부동산을 구매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하는 것이 취득세입니다. 2025년 부동산 취득세율은 보유 주택 수, 거래 방식, 지역 등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2025년 주택 및 부동산 취득세율을 상세히 정리하고, 취득세 계산법까지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부동산 취득세란?
부동산 취득세는 부동산을 매매, 증여, 상속, 신축 등의 방식으로 취득할 때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
- 납부 기한: 취득 후 30일 이내
- 납부 방법: 관할 시·군·구청 또는 온라인 납부 (위택스, 지로 등)
- 미납 시: 가산세 발생 (최대 20%)
2025년 주택 취득세율
주택 취득 시 주택 가격과 보유 주택 수에 따라 취득세율이 결정됩니다.
보유 주택 수 | 주택 가격 | 취득세율 |
1주택자 | 6억 이하 | 1.1% |
1주택자 | 6억~9억 | 2.2% |
1주택자 | 9억 초과 | 3.5% |
2주택자 (비조정지역) | 무관 | 1~3% |
2주택자 (조정대상지역) | 무관 | 8.4% |
3주택 이상 (조정대상지역) | 무관 | 12.4% |
법인·4주택 이상 | 무관 | 12.4% |
조정대상지역: 서울, 경기 일부, 부산 등 정부에서 지정한 규제 지역
토지 및 상업용 건물 취득세율
주택 외에 토지, 상가, 공장 등을 구매할 경우 적용되는 취득세율입니다.
부동산 종류 | 취득세율 |
일반 토지 | 4.0% |
상업용 건물 (상가) | 4.6% |
농지, 공장, 창고 | 3.0% |
증여 및 상속 취득세율
가족 간 증여 또는 상속으로 부동산을 취득할 경우 취득세율이 다릅니다.
취득 방식 | 취득세율 |
증여 (부모 → 자녀) | 12% |
상속 (일반) | 2.8% |
배우자가 1주택 상속 시 | 1.1% |
취득세 계산 예시
실제 부동산 취득 시 취득세를 어떻게 계산하는지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 1주택자가 6억 원 아파트 구매 시
- 계산식: 6억 × 1.1% = 660만 원
✅ 2주택자가 9억 원 아파트 구매 시 (조정대상지역)
- 계산식: 9억 × 8.4% = 7,560만 원
✅ 5억 원 아파트를 증여받을 경우
- 계산식: 5억 × 12% = 6,000만 원
2025년 부동산 취득세율은 부동산 종류, 가격, 보유 주택 수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특히, 조정대상지역 내 다주택자는 높은 취득세율이 적용되므로 신중한 투자 계획이 필요합니다.
부동산 구매 전 취득세 계산을 미리 해보고, 절세 전략까지 세워둔다면 불필요한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