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SA 계좌 만기는 언제인가요?
📌 가입 후 5년이 지나면 만기 도래
- 일반적으로 ISA 계좌는 5년 이상 유지해야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단, 서민형·농어민형 ISA는 3년 이상 유지 시에도 만기 혜택 적용 가능
📌 만기 전 중도 해지하면 어떻게 되나?
- 원칙적으로 5년(또는 3년) 동안 유지해야 하지만, 특별한 사유(실직, 폐업, 질병 등)가 있을 경우 비과세 혜택을 일부 유지한 채 중도 해지 가능
- 단순한 이유로 중도 해지할 경우 세제 혜택이 사라지고 일반 금융소득세(15.4%) 적용
2. ISA 계좌 만기 시 선택 가능한 옵션
ISA 계좌가 만기되면 다음 3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① 만기 자금을 인출하여 현금화
✅ ISA 계좌에서 모든 자금을 출금 후 계좌 해지
✅ 세제 혜택 적용 후 잔액을 자유롭게 사용 가능
예를 들어, ISA에서 500만 원의 수익이 발생했다면 비과세 한도(200~400만 원) 초과분만 9.9% 과세 후 인출할 수 있습니다.
② ISA 계좌를 연금저축계좌 또는 IRP(개인형 퇴직연금)로 전환
✅ ISA 계좌를 연금저축계좌 또는 IRP 계좌로 이체하여 추가 절세 효과
✅ 연금저축계좌/IRP는 추가적으로 연간 최대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 혜택 제공
✅ 연금으로 수령할 경우 세율이 낮아지는 장점 있음
ISA 만기 후 연금저축계좌로 전환하면 장기적인 절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③ 만기 연장(신규 ISA 계좌 개설 가능)
✅ ISA 계좌를 해지하지 않고, 추가적으로 계속 운용 가능
✅ 만기 후 새롭게 ISA 계좌를 개설하고 기존 자금을 이체 가능
ISA 계좌 만기 후에도 다시 ISA 계좌를 개설하여 비과세 혜택을 유지하면서 투자 가능
3. ISA 만기 시 어떤 선택이 유리할까?
즉시 사용할 돈이 필요하다면, 계좌에서 자금을 출금 후 계좌를 해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경우, 비과세 혜택을 적용받은 후 남은 금액만 과세되어 비교적 부담이 적습니다.
장기적인 절세 전략을 고려한다면, 만기 자금을 연금저축계좌 또는 IRP(개인형 퇴직연금)로 이체하는 방법이 유리합니다. 연금 계좌로 전환하면 추가적인 세액공제 혜택(최대 700만 원)을 받을 수 있으며, 연금으로 수령 시 세율이 낮아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비과세 혜택을 유지하면서 계속 투자하고 싶다면, 만기 후 ISA 계좌를 연장하거나 새롭게 재가입하여 계속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세제 혜택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금융상품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4. ISA 계좌 Q&A – 만기 및 활용 방법
Q1. ISA 계좌의 만기는 언제인가요?
✅ A. ISA 계좌는 기본적으로 가입 후 5년이 지나면 만기가 됩니다. 다만, 서민형 및 농어민형 ISA 계좌는 3년 이상 유지하면 만기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Q2. ISA 계좌 만기 시 돈을 바로 인출할 수 있나요?
✅ A. 네, 만기 시 모든 자금을 인출할 수 있으며, 이때 비과세 혜택(200만~400만 원) 적용 후 초과분에 대해서만 9.9% 세율이 적용됩니다. 만기 이후 자금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Q3. ISA 계좌 만기 후 재가입할 수 있나요?
✅ A. 네, 기존 ISA 계좌를 해지한 후 새로운 ISA 계좌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 또한, ISA 계좌 내 자금을 연금저축계좌 또는 IRP(개인형 퇴직연금)로 이체할 수도 있습니다.
Q4. ISA 만기 시 연금저축계좌 또는 IRP로 전환하는 게 좋은가요?
✅ A. 연금저축계좌 또는 IRP로 이체하면 추가적인 세액공제 혜택(최대 700만 원까지)과 연금 수령 시 낮은 세율 적용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장기적인 절세 전략을 고려한다면 ISA 만기 후 연금 계좌로 전환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Q5. ISA 계좌 만기 후 자동 연장되나요?
✅ A. ISA 계좌는 만기 후 자동 연장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만기 후 출금, 연금계좌로 이체, 또는 새로운 ISA 계좌 개설을 선택해야 합니다. 만기 후 별도로 신청하지 않으면 계좌가 종료되므로, 본인의 투자 계획에 맞춰 적절한 선택을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