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67) 썸네일형 리스트형 태정태세문단세 예성연중인명선 (조선왕조 계보) 얼마전 초등학생 아이가 태정태세문단세 예성연중인명선 다음이 뭐냐고 물어보더라구요 예전 학생때 열심히 외웠었는데 아이가 갑자기 물어보니 그 다음이 무엇인지 저도 잘 기억이 나지 않아 인터넷을 찾아보았습니다. 태정태세문단세 예성연중인명선 광인효현숙경영 정순헌철고순 조선 왕조의 왕의 시호나 사후에 받은 이름을 앞글자만 딴 것으로 왕의 재위 순서를 쉽게 기억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역사를 학습할 때 아주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태정태세~ 시작을 할 때 1대가 태조인지 태종인지 많이 헷갈려 하는데 1대는 태조 이성계로 조선의 1대왕 입니다. 계보를 살펴보면 왕의 이름 뒤에 조와 종이 붙는데 '조' 는 공이 탁월한 왕에게 부여하고 덕이 출중한 왕은 '종'을 부여하였습니다. 왕의 이름은 왕이 세상을 .. 한식날 유래, 2024년 한식날 한식은 우리나라의 4대 명절로 설날, 단오, 추석과 함께 예로부터 큰 명절로 여겨져 왔습니다. 한식은 2023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으나, 최근 공휴일인 설날과 추석은 많은 분들이 조상을 찾아뵙고 가족과 함께 하고 있지만 젊은 사람들에게 한식과 단오의 의미가 많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2024년 24절기 날짜 알아보기 한식에는 계절적으로 한 해의 농사가 시작되는 시기이며, 조상의 무덤을 보수하는 시기입니다. 오늘은 2024년 한식이 언제인지 그 날짜를 알아보고 한식의 유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식의 날짜 한식은 동지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을 한식이라고 하며, 보통 4월 5일 또는 6일이 한식이 됩니다. 동지는 24절기의 하나로 양력으로 그 날짜가 결정됩니다. 따라서 한식날도 양력으로 4월 .. 2024년 24절기 날짜와 절입시간 태양의 위치에 따라 계절적 구분을 하려고 만든 절기는 지구의 움직임에 따라 15도의 간격으로 나누어 1년을 총 24개의 절기로 나누었습니다. 동지를 시작으로 15도씩 나누고 이것을 날짜에 적용하였기 때문에 절기는 양력으로 적용되며 매년 하루이틀정도 차이가 나게됩니다. 24절기는 태양력 기반으로 만들어져 매년 날짜가 일정하나 윤달이 있는 경우에 조금씩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2024년의 절기 날짜는 2월 4일 입춘을 시작으로 2월 19일 우수, 3월 5일 경칩, 3월 20일 춘분, 4월 4일 청명 4월 19일 곡우로 이어집니다. 절기 날짜와 더불어 중요한 것이 절입 시간입니다. 절입 시간은 그 절기가 시작되는 시간으로 입춘의 경우, 입춘대길 입춘방을 절입시간에 붙이게 됩니다. 또한 동지에는 절입시간에 맞춰 .. 이전 1 ··· 51 52 53 54 55 56 다음